김장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무 재배방법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김장무는 단무지를 만드는 무와는 종류가 다르고 심는 시기도 다릅니다. 그리고 무청을 주로 사용하는 무청 무와도 심는 시기가 다릅니다.
김장무 심는 시기는 김장배추 심는 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씨뿌리기를 해야 합니다. 김장배추는 통상 모종을 심지만 김장무는 씨를 뿌리기 때문에 자라는 기간이 오래 걸립니다. 무는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 90일 정도 소요가 됩니다.
씨를 뿌려서 발아하는데 통상 1주일이 걸리고 또 8월 말은 기온이 높아 발아율이 낮습니다. 그래서 한 번 더 뿌릴 것을 염두에 두고 파종을 해야 합니다. 이런 것을 감안하면 배추모종 심을 때 무씨앗을 파종 하면 됩니다.
김장무는 가로세로 20~30cm간격으로 심으면 됩니다. 그러면 발아가 안되는 것도 있고 해서 적당한 간격이 됩니다. 가급적 넉넉하게 심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심을 때는 씨앗 크기의 2배 정도 깊이로 심으면 됩니다. 더 깊게 심으면 발아가 안 되는 경우도 있고 흙이 많아서 새싹이 차고 올라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씨뿌릴때는 기상상태를 보고 흐리고 비가 예보되어 있을 때 심는 것이 발아와 활착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씨앗은 2개씩 하나의 구멍에 넣었다가 발아되고 2주 정도 자라면 그중 부실한싹 1개는 솎아주면 됩니다.
물 주기는 발아시기는 2일에 한 번씩 관수를 해주고 발아 후에는 1주일에 2번 정도 관수하면 됩니다. 비가 올 때는 횟수를 줄여서 스스로 뿌리가 자리를 잡게 해 주면 됩니다. 어느 정도 자라면 물 주기를 안 해도 스스로 알아서 잘 자랍니다.
김장무는 오랫동안 자라고 크게 자라기 때문에 밑거름을 많이 해주고 파종을 해야 합니다. 밑거름은 축산퇴비와 복합비료를 하되 축산퇴비는 파종 3주전에 하고 복합비료는 파종 1주일 전에 하면 됩니다. 그리고 로터리를 골고루 쳐서 잘 썩어 주어야 메탄가스 발생이 없어 잘 자랍니다.
시비량은 축산퇴비는 1㎡당 1kg, 복합비료는 100㎡당 5kg 정도가 적당합니다. 추가시비는 파종후 1~2개월 사이에 고형비료와 영양제 관엽시비를 하면 됩니다. 유용미생물을 주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쪽파 심는 시기 및 방법 (1) | 2025.08.30 |
---|---|
김장배추 심는 시기 및 방법 (0) | 2025.08.30 |
당근 심는 방법 및 효능 (3) | 2025.08.14 |
양배추 심는 시기 및 방법 (5) | 2025.08.13 |
고추 건조방법 (3)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