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world

반응형

표고버섯 종균 접종방법 개요

표고버섯 종균 접종을 올해도 변함없이 하였습니다. 2024년도와 비슷한 2025년 3월 22일에 표고버섯과 느타리버섯 종균을 접종하였습니다. 표고버섯 종균은 올해는 산조 502 저온성을 선택하였습니다. 2023년 에는 중온성 2024년에는 중저온성 올해는 저온성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였습니다.  

표고버섯 종균 접종 완료한 원목

매년 표고버섯 종균의 품종을 달리 한 이유는 표고버섯 채취시기를 폭넓게 하기 위하여 중온성부터 저온성까지 3개 품종을 매년 나뉘어 접종하였습니다. 저는 매년 표고버섯 원목을 150개 정도씩 만들어 접종하였습니다. 

표고버섯 종균 접종방법 및 시기

표교버섯 종균 접종방법은 몇가지만 알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 종균 접종용 원목생산은 전년도 12월 초부터~다음 해 1월 초순까지는 마쳐야 합니다. 참나무류의 잎이 단풍이 들고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에 벌목을 하여 표고버섯 접종 전까지 건조해야 합니다.

챠양과 눈비를 피하여 3~4개월 전조시킴

그런 다음 함수율이 50% 내외까지 떨어진 3월 중순경에 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표고버섯은 담자균의 곰팡이입니다. 곰팡이는 습기가 많거나 적으면 활착이 어려우니 벌목 후 차양과 눈비를 피할 수 있는 곳에서 3~4개월 건조해야 곰팡이가 살기에 적당한 수분이 됩니다. 

표고버섯 종균과 느타리 종균

적당하게 건조된 원목에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는데 접종 시 종균애 수분이 마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종균을 포터에서 털어서 작업하지 않고 한 개씩 뽑아서 원목에 접종하는 것이 좋으며 감염방지를 위해 위생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목 전공용 드릴은 12.5mm가 좋으며 천공간격은 세로 10cm 간격, 가로 5cm 간격이 좋습니다. 간격을 줄이면 생산을 많이 되지만 원목의 수명이 줄어들고 버섯의 크기와 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표고버섯 종균은 적당한 간격으로 접종을 하되 종균을 막고 있는 스치로폴 껍질이 원목의 수피보다 높거나 낮으면 물이고이거나 물이 들어가서 감염이 발생될 수 있으니 수피와 같은 높이가 좋습니다. 

표고버섯 종균 접종후 관리방법

표고버섯 종균 접종이 끝나면 관리를 잘해야 버섯이 잘 자랍니다. 접종한 원목은 장작 쌓기 형태로 2~3단 정도만 쌓아야 합니다. 종균접종을 마치면 온도가 높을 때는 2일 후부터 살수를 해서 수분을 유지해야 하고 기온이 낮을 때는 3~4일 후부터 살수를 해야 합니다. 올해는 기온이 22℃까지 올라서 2일 후부터 살수를 했습니다. 살 수는 조금 하면 안 되고 2~3시간 이상 흠뻑 해야 합니다.

종균 접종 2~3일후 충분한 살수

살수 후는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습도유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합니다. 접종 후 2주 후부터 2주 간격으로 지속적인 살수를 해서 습도 유지를 해야 합니다. 5월 정도가 되면 표고버섯 종균이 원목에 활착을 합니다. 이때부터는 너무 온도가 높지 않게 차양시설을 하고 우물정자 쌓기로 변경한 뒤 8월 말까지 수분보충만 하면 됩니다. 9월에 원목 세우기를 하면 중온성과 중저온성은 버섯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