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림가꾸기 사업은 숲가꾸기 사업의 한 종류입니다. 숲가꾸기는 크게 공익림가꾸기 와 경제림 가꾸기로 사업종이 구분됩니다. 산림의 6대 기능 중 목재생산림은 경제림가구기 사업종이고 나머지 5개의 기능은 공익림가꾸기 사업종에 속합니다.
공익림가꾸기 사업의 공간구분은 산림 관리의 집중도에 따라 핵심, 완충, 일반구역으로 구분되고 동선구분은 선, 점, 면에 의하여 구분됩니다.
공익림가꾸기 사업의 공간구분 중에서 핵심구역은 계곡부는 만수위로부터 30m, 임연 부는 도로나 임도로부터 30m, 산책로는 동선으로부터 30m 지점이며 시설지나 전망대 등으로부터 30m 지점입니다. 핵심구역 관리방법은 산림기능이 발휘되도록 집중관리하는 지역이며 완충구역은 핵심구역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까지를 말합니다.
계곡부는 홍수위로부터 첫번째 능선이고 산책로나 임도, 도로, 시설지 등에서 가시 되는 구역입니다. 그리고 일반구역은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을 제외한 지역입니다. 사업대상지중 핵심구역을 제외한 구역은 일반구역으로 구분하면 됩니다.
공익림가꾸기 사업의 추진은 크게 6단계로 실행하게 됩니다. ①사업계획(기본설계) ②실시설계 ③선목 ④사업시행 ⑤감리 및 관리감독 ⑥준공검사 및 사후관리의 순입니다. 실행 각단계별 추진주체가 다르며 역할과 임무가 다르므로 이는 세부적인 것은 지침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임업용 페인트 및 마킹테이트 소개 (0) | 2025.02.27 |
---|---|
산림경영계획서 작성대가 소개 (0) | 2025.02.26 |
재해위험성 검토 표준품셈표 소개 (0) | 2025.02.24 |
임분의 유형 및 수관 울폐도 소개 (0) | 2025.02.20 |
숲가꾸기 사업 구분 및 용어의 정의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