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가꾸기숲 가꾸기 사업구분은 경제림 및 공익림 가꾸기로 구분됩니다. 산림은 해당 임분의 산림의 기능에 의하여 6개 유형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능별로 차별화된 숲가꾸기 사업을 실시하여 기능의 목표를 달성합니다. 숲가꾸기 사업구분과 사업내용은 아래 도표와 같습니다.
숲가꾸기란 천연림과 인공림의 풀베기, 어린나무 가꾸기, 덩굴제거, 솎아베기, 천연림 보육 등을 통하여 건강성을 증진시키는 여러 종류의 육림작업으로 구분됩니다. 또한 사업의 대상, 기능, 목적에 따라 공익림가꾸기와 경제림 가꾸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경제림 가꾸기는 산림의 6대 기능 중 목재생산림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목재생산을 위하여 임종에 따라 단계별로 적절한 육림사업을 실시하여 국민경제 활동에 필요한 목재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입니다. 공익림가꾸기는 산림의 6대 기능 중 수원함양림, 생활환경보전림, 산림휴양림, 자연환경보전림, 산지재해방지림이 여기에 해당되며 국토보전, 산림자원의 유지 등 공익적 가치를 증진시키고 재생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사업입니다.
산림사업 주요용어의 정의를 살펴보면 ①사업종은 독립적으로 발주할 수 있는 사업의 종류 ②단위작업은 벌목, 토막 내기, 지조물정리 등 한 가지 사업종에 세분화된 작업과정입니다. ③간벌방식은 정량간벌, 도태간벌, 열식간벌이 있습니다. ④임야는 지적공부상 지목이 임야인 토지와 지목이 임야가 아니지만 입목죽이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거나 이에 사용하게된 토지 ⑤지종은 시업지와 시업제한지롤 구분됨 ⑥시업지는 임목생산을 주목적으로 하는 임지이며 ⑦시업제한지는 보안림, 군사지, 채종림, 공원, 관광지, 문화재 및 도시계획지와 산림 및 타법에 의하여 사업을 제한하는 임지 ⑧임목지는 교목의 울폐도가 30% 이상인 임분, ha당 일정 본 수 이상의 치수(침엽수 1,200본, 활엽수 1,600본 이상)가 고르게 생육하고 있는 임분으로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죽림으로 구분 ⑨침엽수림은 침엽수의 수관점유면적이 입목본수비율의 75%이상인 임분
재해위험성 검토 표준품셈표 소개 (0) | 2025.02.24 |
---|---|
임분의 유형 및 수관 울폐도 소개 (0) | 2025.02.20 |
산림의 기능구분 방법 소개 (0) | 2025.02.20 |
청단풍 심는 방법 소개(추기조림) (0) | 2024.11.22 |
왕벚나무 식재방법(추기조림) (0)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