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world

반응형

산림의 기능구분 개요

산림의 기능구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기준(2026년 새로 통계 입력예정) 우리나라 산림면적은 전국토의 62.7%인 6,298천 ha입니다. OECD 국가 중에서 핀란드, 스웨덴, 일본에 이어 4위입니다. 우리나라 산림의 면적은 매년 1,500ha(여의도면척의 5배)씩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우리나라 산림의 면적과 임목축척 출처 : 산림청 산림기본통계
산림면적 및 임목축적 변동 출처 : 산림청 산림기본 통게

 우리나라 임목축적(산림에 있는 나무의 총부피)은 1,040,447천㎥이며 ha(10,000㎡) 당 임목축적은 165.2㎥으로 OECD국가 ha당 임목축적 평균 131㎥보다 매우 높은 수중입니다. 우리나라가 식목일을 제정한 1946년 대비 18.4배 치산녹화사업을 시작한 1973년 대비 14배가 증가하였습니다. 

산림의 기능 및 관리목표

산림의 기능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에 의하여  6개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산림의 기능별 관리방향은 6대 기능이 최적으로 발휘되도록 차별화된 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산림의 기능별 관리목표 출처 : 산림청

산림의 기능배정은 산림공간정보서비스 상의 산림기능구분도를 기준으로 배정하며 산림현장의 실제기능과 산림공간정보서비스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산림경영계획서에 따른 기능배정과 산림경영계획서 미작성 시는 담당공무원의 승인을 받은 기능으로 배정됩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