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분의 유형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임분이라는 용어의 정의를 보면 숲의 모습이 비슷하고 숲을 관리하는 단위가 되는 나무들의 무리와 그것이 서있는 숲땅을 모두 임분이고 합니다. 임분은 보통 1ha(10,000㎡) 이상의 면적을 자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 수종, 수령, 생육상태 등이 거의 비슷해서 이웃하는 것과 모습이 뚜렷이 구별되는 한 덩어리의 숲으로 3~5ha 이상되고 편의상 구획선으로 구별된 것을 부르기도 합니다.
임분의 유형중 다층혼효림은 수직적, 수평적 다층혼효림이 있습니다. 다층혼효림은 임분을 구성하는 임목의 수관이 상중하 다양한 위치에서 자라며 여러 수종이 섞여자라는 임분입니다. 다층 혼효림은 동일한 공간에 상중, 중층, 하층으로 구성되는 수직적 다층혼효림과 공간을 달리하여 군상으로 층을 이루는 수평적 다층 혼효림이 있습니다. 수직적 다층혼효림 중 산림을 목재생산 등 경제적 목적으로 교목위주로 경영하는 것은 경제림이고 생태적 건강성을 증진하면서 교목과 아교목, 관목으로 구성되는 것은 공익림의 경영 목표입니다.
수평적 다층혼효림은 다양한 형태로 단목, 대상, 군상, 모자이크, 택벌 등에 의하여 존재하며 수종의 지위와 내음성을 고려하여 혼효면적의 크기를 선택하게 됩니다. 수평적 다층혼효림의 활엽수림은 침엽수를 20~30%, 치엽수림은 활엽수를 20~30% 혼효하는 형태입니다.
조림은 이러한 수평적 다층혼효림은 조성이가능하나 공익림가꾸기를 통해서는 조성이 어려운 구조입니다. 공익림 가꾸기의 목표임분은 수직적 다층혼효림 조성입니다. 수직적 다층혼효림의 층위구분은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구분되며 숲의 교란등으로 상층목이 없는 경우는 수평적 다층혼효림 조성이 가능합니다.
수관울폐도의 정의는 수관 투명면적의 합계가 임지면적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계산하는 방식은 (투영면적 ÷ 표준지면적) x 100%로 산출됩니다.
조사하는 방법은 표지내 임목의 수관투영도를 그리고 위의 추정 그림도와 비교하여 육안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관울폐도 산림경영 고급기술자가 되어야 판단이 가능합니다.
공익림가꾸기 사업 소개 (0) | 2025.02.24 |
---|---|
재해위험성 검토 표준품셈표 소개 (0) | 2025.02.24 |
숲가꾸기 사업 구분 및 용어의 정의 (0) | 2025.02.20 |
산림의 기능구분 방법 소개 (0) | 2025.02.20 |
청단풍 심는 방법 소개(추기조림) (0)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