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world

반응형

무청시래기 삶는 방법 개요

무청시래기 삶는 방벙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무청시래기를 만들려면 가을에 무를 뽑아서 무뿌리는 야채 식재료로 사용을 하고 무잎은 버리게 되는데 이중에 상태가 좋은 푸른 줄기만 골라서 무머리 부분이 약간 남게 자른 다음 반음지에서 말리면 무청시래기가 됩니다. 직사광선에 말리면 무청이 완전히 누런색이 되고 음지에서 말리면 엽록소가 산화되지 않고 남아있어 푸른색이 됩니다. 영양학적으로는 별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무청 시레기 만들기
완전건조된 무청 시래기

차양이 된 반음지에서도 1달 정도 말리면 완전건조가 됩니다. 무청은 건조되면 습기가 좀 있는 이른 아침에 거두어 포장을 해야 합니다. 낮에는 너무 바삭거려서 다 부서집니다. 이렇게 해서 큰 비닐봉투에 넣어 보관하면 한겨울 내내 식재료로 사용가능합니다. 

 무청시래기 삶는 방법 

잘 말려진 무청시래기 삶는 이유는 무청시래기를 식재료로 활용하기우해서는 삶아야 합니다. 삶을 때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무청시래기는 건조되어 있었기 때문에 물을 충분히 넣고 약한 불에 30분 정도 끓이다가 센 불로 1~2시간 정도 삶으면 됩니다. 무청시래기는 2시간 정도 센 불에서 삶으면 무청시래기에 있는 줄기껍질을 제거하지 않아도 됩니다. 약하게 삶으면 줄기의 섬유질 껍질이 질겨서 식감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무청시래기 삶기
된장풀기
무청시래기 2시간동안 푹삶기

그리고 1시간정도 삶다가 된장을 넣어주면 더 부더러워 지고 구수한 맛도 증가하니 많은 양보다는 적당량을 넣어주면 좋습니다. 물을 충분히 넣고 삶아야 2시간 정도 삶을 수 있으니 무청시래기가 물에 푹 잠기도록 물을 붓고 삶기 시작하여야 하며 처음에 소금을 조금 넣고 삶으면 색감이 좋아지니 참고 바랍니다. 무청시래기 잘 삶는 방법은 센 불에 소금이나 된장을 조금 넣고 2시간 정도 푹 삶으면 무청줄기에 있는 섬유질의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식재료로 사용가능합니다.  

반응형

'산방 이야기 > 산방 음식 및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꾸지뽕 조청 만들기  (0) 2025.04.09
가을 김장독 개봉 결과  (0) 2025.04.07
한겨울 대붕감 곶감 만들기  (0) 2025.01.06
2024년 강원도 첫눈 풍경 소개  (1) 2024.11.27
늦가을 풍경 구경  (0) 2024.11.26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