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world

반응형

2025년 나무의사 11회 1차 시험이 지난 2월 22일 치러졌습니다. 제가 난이도분석을 해봤고 이후로도 10여 명 이상 시험응시자분들께 연락도 해봤습니다. 

나무의사 11회 2차시험 문제 전망 개요

합격율은 여전히 지난 시험보다 낮을 거라고 봅니다. 왜냐하면 이번시험의 특징이 문제를 인식하는 것이 어렵웠다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2차시험 답안지 작성 예시.pdf
1.23MB
나무의사 자격시험 과목별 평균점수.pdf
0.14MB

즉 출제자의 의도를 잘모르고 지문 5개를 읽다 보니 시간만 낭비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럼 2차 시험도 출제유형이 이런 형태일수가 있습니다 문제를 정확히 제시하고 풀어가는 것이 아니고 물음 자체가 하나의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나무의사 11회 2차시험 과목별 전망

나무의사 11회 2차시험을 과목별로 전망해 보면 1교시의 DVD시험은 소목학은 수목의 정확한 모습을 제시하고 이름을 맞추는 경우가 아니라 수목의 특징적인 부분만 제시하고, 해충학은 유사해충이 있는 종류 중에서 특징을 제시, 그리고 병해의 경우도 유사한 병해중에서 특징만 제시하는 시험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즉 완전하게 알아야 정답을 적을 수 있도록 변별력을 강화하는 시험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외과수술도 문제를 직접 제시하지 않고 표징이나 병징을 주고 이것에 대한 수술행위를 적어야 하거나 아니면 각각의 수술이 어떤 외과적 문제가 있을 때 시행하여야 하는지 까지 구체적으로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2차 시험 답안지_1교시_실기시험(공개용).pdf
1.01MB

 

2교시 피해진단 및 처방에서도 논술문제부터 기주목을 제시하지않고 지주의 특징만 제시하고 병해도 표징과 병징의 완전한 특징만 제시한다던가, 또 병해와 비생물학적 피해가 유사한 병징을 제시하면 실제 나무병원에서 진단처방을 하지 않았던 분들은 분간하기가 여간 어렵지 않습니다. 기주와 병징 표징을 사진으로 제시해 놓고 간단한 설명만 해놓으면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나무의사 11회2차시험 공부방법

병충해 서술시험과 단답형 시험도 줄제자의 의도가 완전하게 나타나지 않게 출제될 수 있으니 폭넓은 공부도 좋지만 세부적이고 깊이 있는 전문적인 공부가 필요합니다. 저는 21년도에 나무의사시험에 합격했습니다만 지금까지 나무의사 시험 1차는 거의 다 풀어 봤고 2차도 수험생들을 통하여 거의 다 들어 봤습니다. 그리고 11회2차시험을 전망하고 공부방법을 제시해 보았습니다. 

2차 시험 답안지_2교시_서술형 필기시험(공개용).pdf
0.66MB

 

여러경험과 여러사람들의 의견을 을 통하여 정리해 보면 이번처럼 시험문제가 조금씩 나무의사가 필요로 하는 깊이 있는 내용으로 변한 것은 올바른 방향이라고 보고 2차도 이렇게 변할 거라고 봅니다. 저는 나무병원에서도 근무를 했고 지금도 산림법인을 하면서 산과 나무와 농사를 같이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험문제를 보니 조금이나마 현실에 맞는 문제가 출제되었다고 보고 이것이 11회 2차 시험에서도 이렇게 될 것이라 봅니다.   

 

나무의사 제11회 1차시험 난이도 분석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