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2일 실시한 나무의사 11회 2차 시험 2교시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난이도 및 문제 복원한 내용입니다. 전체적으로 완벽하진 않아도 대체적으로 복원해 보았습니다.
나무의사 11회 2차 시험의 난이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평가로 합격자를 선별하므로 결과는 생각하신 것과 매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내가 시험 본 거도 중요하지만 다른 수험자들의 답안지 작성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보아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시험문제만 보면 난이도는 어느 때보다 높은 시험이었습니다.
1. 철쭉 떡병, 철쭉 민떡병, 철쭉 잎녹병에 대하여 ① 각각 병해를 친단할수 있는 증상, ② 각각의 병해 관리방안 서술 및 약술식으로 작성 (10점)
2. 때죽 납작진딧물, 복숭아 혹진딧물에 대하여 ① 각각의 겨울기주에서 나타나는 증상 약술 ② 복숭아 혹진딧물의 생활환에 대하여 쓰시오 (10점)
3. 토양문제 (15점) 조사구 A, B, C ① 유효수분, ② 유효수분을 깊이(Cm)로 나타내면 ③ 조사구 중에서 가장 유효수분이 적은 것은? ④ 유효수분이 적은 이유? ⑤ 유효수분을 적은 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4. 소나무와 곰솔이 3월에 시들고 낙엽 지기 시작하는 이유 (10점)
- 지난 겨울은 예년보다 2~4℃ 기온이 높았다. -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이 많았다. 증상을 보고 진단하고 증상의 생리적 영향을 설명하고 관리방안을 설명하시오(10점 / 동계건조)
5. 종합문제(55점) 아파트 단지 내 수목 ① 소나무 잎떨림병 ② 느티나무 벼룩바구미 ③ 갈색고약병(사철나무) ④ 답압 ⑤ ⑥ 토양분석(질소기아) - 현장진단 - 추가진단 - 종합진단 및 처방(건강유지방안)
문제의 답을 찾기 위해서는 표징과 병징 그리고 비생물학적 피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며 토양과 낙엽분석한 결과에 대하여는 정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수험생님들
나무의사 수목진료 표준품셈 (2) | 2025.08.07 |
---|---|
나무의사 11회 2차시험 문제 복원 (4) | 2025.07.14 |
2025년 수목치료전문가 현황 (0) | 2025.07.01 |
제11회 나무의사 2차시험 참고자료 (0) | 2025.07.01 |
나무의사 11회 1차 합격현황 소개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