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사의 수목병해충 소개 35번째로 배롱나무 흰가루병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배롱나무 흰가루병의 학명은 Phyllactinia corylea입니다. 분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에 퍼져 있습니다.
배롱나무 흰가루병은 우리나라 300여 종의 기주식물에서 나타나며 수종에 따라 기중특이성을 보입니다. 배롱나무 흰가루병은 대표적인 기주특이성을 보이며 잎의 뒷면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입니다.
배롱나무 흰가루병의 병원균의 균사는 기주식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특이하게 흡기와 균사를 기주식물의 조직 속에 박고 영양분을 섭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배롱나무 흰가루병은 주로 늦은 가을에 심하게 발생하여 조경수의 미관을 크게 떨어지게 합니다. 가을에는 나무전체가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희게 보이고 계속해서 피해를 받으면 나무의 자람이 떨어지고 수세가 약해져서 2차 병해충의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나무가 죽거나 하지 않으며 심하면 신초가 기형을 나타내는 경우는 있습니다.
배롱나무 흰가루병의 방제는 병든 낙엽을 태워서 없애야 하며 죽은 가지를 제거해서 겨울 숙주가 되는 전염원을 없애야 합니다. 화학적 방제는 봄에 새순이 나기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주 1~2회 살포하거나 여름에 만코지브, 베노밀, 지오판 수화제 등의 살균제를 2주 간격으로 살포하여 예방 및 방제를 하여야 합니다. 특히 장마철 이후에는 예방차원의 살균제 약제 살포가 필수입니다.
수목 병해충 소개(34) - 밤나무 잉크병 (0) | 2025.03.05 |
---|---|
수목 병해충 소개(33) - 무궁화 점무늬병 (1) | 2025.03.04 |
수목 병해충 소개(32) - 동백나무 탄저병 (0) | 2025.02.18 |
수목 병해충 소개(31) - 대추나무 빗자루병 (0) | 2025.02.17 |
나무의사 2차시험DVD병해(30)-대나무류 개화병, 깜부기병 (0) |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