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산림기능사 필기실기 시험 주요 개정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먼저 필기시험 주요 개정사항을 보면 시험문제는 객관식 60문제, 시험시간 1시간은 같습니다. 필기시험 출제분야는 기술이론지식→숙련기능공의 현장능력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①종자 및 묘목생산→식재지 정리 및 관리(식재, 풀베기, 덩굴제거, 비료주기) ②숲 가꾸기 및 수종갱신 →어린나무 가꾸기 및 가지치기 ③산림의 피해, 수목병, 산림해충, 농약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방법으로 축소 및 단순화 ④임업기계의 엔진, 연료 및 사용법 →기계의 종류, 유지관리로 단순화 ⑤산불진화, 산림작업 안전관리, 작업도구 신설 및 보완 ⑥임업기계의 사용법은 현행유지 등입니다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개정은 성능 및 구조 분야를 사용법 및 유지관리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번에 변경된 산림기능사 필기시험 주요개정사항은 구조나, 이론적인 것은 배제되었고 실제 현장에서 작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직무위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장비나 도구 등을 다루어 보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산림기능사 시험 실기시험 2025년 개정사항입니다. 실기시험 검정방법은 2시간 정도로 동일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①작업로설치등 조림 및 숲 가꾸기→ 식재지정리 및 식재, 풀베기, 덩굴제거, 비료주기와 어린나무 가꾸기 등 ②임업기계는 안전과 정비분야 보강 ③수형조절, 가지치기, 솎아베기 보강 ④산업안전장구 관리 및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시공 보강 등이 변경된 사항이며 주요 실기과목인 임업기계는 세세하게 요구사항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안전 관련 물자 구분하기와 병해충 관련사항이 필기시험에서는 제외되고 실기시험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번 개정은 2027년 12월까지 적용되므로 올해 시험 경향을 유심히 피악 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 개정된 산림기능사 실기시험은 나무의 식재나 식재예정지관리 그리고 어린나무가꾸기의 핵심인 가지치기와 솎아베기등 사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위주로 변경되었으므로 기계나 도구, 장비를 한 번만 접해보면 이해가 쉬워집니다.
2024년 산림기사 필기시험 출제기준(사방공학) (1) | 2024.02.07 |
---|---|
2024년 산림기사 필기시험 출제기준(임도공학) (0) | 2024.02.06 |
2024년 산림기사 필기시험 출제기준(임업경영학) (0) | 2024.02.06 |
2024년 산림기사 필기시험 출제기준(산림보호학) (0) | 2024.02.06 |
산림기사 필기시험 출제기준 (조림학) (0) | 2024.02.05 |